[아는기자]주도권 다툼 ‘점입가경’…비례 순번 결정권?

2024-02-18 62



[앵커]
Q. 아는기자 정치부 김유빈 기자 나왔습니다. 윤영찬 민주당 의원 경선 시켜주겠다, 무슨 의도입니까?

대표적인 비명 윤영찬 의원에게 경선 기회를 주고, 친명을 자처하는 이수진 비례 의원을 컷오프 시키면, '이번 공천, 친명 비명 없다' 이렇게 내세울 수 있겠죠.

윤영찬 의원, '원칙과상식'에서 활동하며 다른 의원들과 같이 탈당할 것처럼 하다가, 막판에 당에 남기로 했습니다.

당시 지역구 경쟁자인 친명계 현근택 변호사가 성희롱 논란에 휩싸인 게 영향을 준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는데요.

한 친명 관계자는 "윤영찬 의원에게 그렇게 쉽게 공천을 줄 수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윤 의원을 경선에서 확실하게 탈락시키려는 의도일 가능성, 배제할 수 없습니다.

당 안팎에선 실제로 "윤영찬 의원에 맞설 '3번 타자'를 물색 중"이라는 얘기도 들리는데요.

앞서 윤 의원에게 맞서려던 현근택 변호사가 불출마한 뒤, 이어서 이수진 의원이 나왔습니다.

그런데 이 의원도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죠.

공천 주기가 당 입장에서 부담인 상황입니다.

이렇다보니 윤 의원을 경선에서 확실히 떨어트릴 수 있도록, 이수진 의원보다 더 강력한 후보. 

즉 여성 가점과 신인 가점을 모두 챙길 수 있는 후보를 내세우는 게 아니냐, 이런 관측이 나옵니다.

2. 아직 이 의원 같은 경우 컷오프가 확정된 게 아니니까 지켜봐야겠는데, 임종석 전 비서실장은 어떻게 되는 겁니까?

당 핵심 관계자는 "임종석 전 실장에게 중성동갑 전략공천은 안 준다"는 입장을 다시 한 번 분명히 했습니다.

중성동갑은 홍익표 원내대표가 지역구를 서초을로 옮기면서 전략선거구로 지정됐는데요.

전략공천을 받거나, 당에서 전략 경선을 시켜주지 않으면 출마가 불가능한 지역입니다.

민주당은 공천을 주긴 줄 거다, 대신 서울 송파갑 같은 험지를 가라, 이렇게 압박하고 있습니다.

3. 제3지대도 녹록지 않아보입니다. 개혁신당 갈등이 커지는 모양새인데요?

네, 이낙연 대표 측 김종민 최고위원이 오늘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이준석 공동대표를 작심 비판했는데요.

들어보시죠.

[김종민 / 개혁신당 최고위원]
"(이준석 공동대표가) 선거운동의 전권을 위임해달라는 얘기였어요.
이준석 대표가 제일 선수다, 전권을 주겠다, 이것도 지휘에요. 단서, 위험할 수 있으니 사이드브레이크 하나는 달자."

요약하면 이준석 대표가 '전권 위임'을 요구했고, 이낙연 대표가 제동을 건 상황입니다.

어제오늘 당이 깨질 듯한 분위기까지 흘렀는데요.

어제 이준석 대표가 예고한 긴급 기자회견이 돌연 취소됐고요,

오늘 김종민 최고위원이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이준석 대표를 비판했습니다.

회견이 끝나자마자 이준석 대표 측이 반박 입장문을 내면서 갈등은 계속되고 있고요.

3-1. 결국 '전권 요구'가 문제된건데, '전권' 무슨 의미입니까?

양측 다 겉으로는 '총선 지휘'에 대한 전권을 말하고 있는데요.

사실 전권, '비례대표 순번' 배치 문제와 직결됩니다.

양측이 부딪힌 시작점, 바로 비례대표로 출마하려는 배복주 전 정의당 부대표에 대한 공천 배제 여부였습니다.

이준석 대표는 "공천 배제를 공표하자"고 했고, 이낙연 대표는 "절차에 따라야 한다"고 맞서고 있는 상황인데요.

지역구보다 비례대표에 특화된 개혁신당 특성상, 전권을 가지는 측이 비례대표 배치 권한도 가질 여지가 있습니다.

양측 다 한 발도 물러설 수 없는 까닭이겠죠.

Q4. 녹색정의당이 민주당이 주도하는 통합비례정당에서 빠지겠다고 한 것도 있죠. 이유가 뭡니까?

녹색정의당, 녹색당과 정의당이 '비례대표 의석확보'라는 공통된 목적을 위해 총선을 앞두고 전략적으로 결합한 당입니다.

녹색당과 정의당 일부 의원들은 잘못하면 민주당 이중대가 된다, 정치 개혁을 스스로 배반하는 길이라며 통합비례정당 참여를 반대했습니다.

통합비례정당에 들어가서 진보당, 새진보연합 등과 지분 경쟁을 벌여야 하는 것도 부담으로 작용했을 수 있죠.

정의당 내부에서는 최근 정의당의 지지율을 고려하면 통합비례정당에 참여해야 한다는 현실론도 제기됐지만, 현실보단 명분을 선택한 것으로 보입니다.


김유빈 기자 eubini@ichannela.com